잠을 잘 자기 위해서, 또는 잠을 잘 못 자는 분들이 제일 많이 고민하는 것이 바로 어떻게 하면 잠을 잘 잘 수 있을까?입니다. 잠을 잘 못 자는 이유에는 많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생활패턴이 좋지 않거나, 카페인 섭취,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불면증에 좋은 차, 음식, 영양제 등을 섭취하기도 하고, 심한 분들은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수면제와 수면유도제 차이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정확한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숙면에 큰 도움되는 방법들
불면증 증상
1. 20분 내로 잠들지 못한다.
2. 잠들기가 힘든 기간이 4주 이상 된다.
3. 저녁에 잠을 잘 못 잘 거 같은 생각에 불안하다.
4. 잠이 들었는데도 자주 깬다.
5. 아침에 일어났는데도 수면부족하다고 느낀다.
6. 낮 동안 피로가 심하다.
수면유도제
수면유도제는 일반인들이 쉽게 약국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수면유도제는 항히스타민제 계열 약이 제일 많습니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종합감기약, 알레르기약 또는 멀미약에도 들어있는 성분입니다. 그래서 종합감기약이나 알레르기약 같은 걸 먹었을 때 잠이 오는 이유도 바로 이 성분 때문입니다. 이 성분은 뇌를 졸리게 하여 잠이 오도록 오움을 줍니다. 보통 수면유도제를 복용 후 1시간 이내로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의존성이 높아서 많이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불면증이랑 출돌하면서 몽유병이나 잠결에 음식을 섭취하는 수면 중 섭식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면제
수면제는 수면유도제와 달리 의사 처방이 필요한 의약품입니다. 수면제에 들어있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졸피뎀,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입니다. 수면제는 잠을 쉽게 들게 하며, 중간에 깨는 것을 방지하고, 꿈을 꾸는 것을 억제합니다. 보통 상담을 받을 때 의사가 판단하여 증상에 따라 처방해 줍니다. 수면제는 단기 불면증에 효과적이며, 보통 복용 후 10분 이내에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보통 하루 10mg 초과하지 않고, 4주를 넘기는 않도록 안전지침을 고지하고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과다 섭취 시 기억력 감소, 약물 내성이 생겨 약 없이는 잠을 못 자는 상황, 복용 후 다음날까지 지속되는 과다 진정 및 주간 졸림, 운동기능 문제가 있습니다.
수면 유도제와 같이 복용하면 안되는 약
수면유도제는 다른 수면제나 감기약, 해열진통제, 진해거담약, 다른 항히스타민제 등이랑 같이 복용하시면 안 됩니다. 이런 약들이랑 같이 복용하시면 심한 진정작용이 있어 같이 섭취하시면 안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 질 높여주는 행동 11가지 방법 - 수면질 개선 (0) | 2023.03.19 |
---|---|
불면증에 좋은 수면 영양제 락티움! 효능 및 제품 고르는 법 (0) | 2023.03.14 |
불면증 수면 잠 잘오는 음식 무엇이 있을까요? (0) | 2023.03.13 |
불면증에 좋은 차, 잠 잘오는 차, 수면에 좋은 차 (0) | 2023.03.09 |
기관지에 좋은 프로폴리스 효능 및 복용법 (0) | 2023.03.08 |